장기요양보험을 이용할 때 필수로 알아두면 좋은 용어는?
요양정보 | 2025.04.30
장기요양보험을 통해 어르신이 요양 서비스를 받으려면 장기요양등급 신청이 필수예요.
하지만 신청 절차가 복잡하고 생소한 용어도 많아, 처음 신청하는 보호자나 어르신에게는 쉽지 않은 과정일 수 있는데요.
이번 글에서는 장기요양보험과 재가기관, 장기요양을 이용하며 알아두면 좋은 주요 용어를 알려드릴 테니 끝까지 확인해 보세요.
장기요양보험과 재가기관이란?

장기요양보험은 고령자나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제도예요.
이 제도를 통해 재가기관에서 어르신이 가정이나 지역사회에서 적절한 돌봄을 받을 수 있어요.
재가기관은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집에서 생활하면서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기관이에요.
장기요양보험 관련 주요 용어는?
장기요양보험을 처음 접하면 생소한 용어들을 알려드릴게요.

용어 | 설명 |
장기요양보험 |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에게 요양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회보험 제도예요. |
장기요양등급 | 요양 필요도에 따라 1~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으로 나뉘며, 등급에 따라 이용 가능한 서비스와 지원금이 조금씩 달라요. |
장기요양기관 | 장기요양보험을 통해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관을 포괄하는 용어예요. 장기요양기관에는 요양원 노인공동생활시설,주간보호센터,방문요양센터, 방문간호, 방문목욕 등이 있어요. |
재가기관 | 어르신이 집에서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이에요. 방문요양, 주·야간보호, 단기보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죠. 재가노인복지시설이라고도 불리며, 장기요양보험에서 재가급여를 받을 수 있답니다. |
요양시설 (입소시설) | 일정 기간 어르신이 입소하여 보호받는 시설 (요양원,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등)이에요. |
복지용구 | 전동침대, 지팡이, 휠체어 등 어르신의 생활을 돕는 용품으로 장기요양보험을 통해 대여 또는 구입 할 수 있어요 |
장기요양보험 관련 주요 용어는?

어르신이 익숙한 집에서 생활하면서도 필요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로 재가 서비스예요.
처음 접하는 분들은 방문요양과 방문간호의 차이, 주야간보호센터와 단기보호시설의 역할 등 다양한 용어가 헷갈릴 수 있어요.
장기요양보험을 통해 제공되는 재가 서비스와 관련 주요 단어를 알려드릴게요.
[재가 서비스 종류]
방문요양
방문목욕
방문간호
주야간보호
단기보호(단기요양)
[재가기관 관련 용어]
용어 | 설명 |
방문요양 |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해 신체활동 및 가사 지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|
방문목욕 | 목욕 차량 또는 방문 요양보호사가 가정에서 목욕을 도와주는 서비스 |
방문간호 |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해 의료적 처치 및 건강 관리를 제공하는 서비스 |
주야간보호센터 | 낮 동안 어르신을 보호하며 인지·신체 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설 |
단기보호(단기요양) | 일정 기간 어르신을 돌보는 단기 입소 서비스 |
복지용구 | 전동침대, 휠체어, 지팡이 등 어르신의 생활을 돕는 용품 (대여·구입 가능) |
장기요양등급 | 요양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1~5등급 및 인지지원등급으로 구분 |
요양보호사 | 어르신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전문 인력 |
수급자 | 장기요양보험을 통해 요양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상자 |
인지지원등급 | 경증 치매 어르신이 이용할 수 있는 장기요양보험 등급 |
돌봄서비스 | 어르신을 위한 다양한 요양 및 생활 지원 서비스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