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합재가서비스 방문간호, 방문목욕 신청 방법 (2025년 변경사항 포함)
요양정보 | 2025.04.10
어르신을 돌보는 가족이라면 어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지 고민되는 순간이 많습니다. 특히 방문간호나 방문목욕처럼 꼭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때, 각각의 기관에 따로 연락하고 예약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하고 번거롭죠.
이럴 때 ‘통합재가서비스’를 활용하면 여러 가지 돌봄 서비스를 한 기관에서 한 번에 받을 수 있어 훨씬 간편하게 어르신을 돌볼 수 있어요.
오늘은 통합재가서비스의 기본 개념부터 방문간호, 방문목욕 신청 방법, 그리고 2025년 변경된 부분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.
1. 통합재가서비스란?

통합재가서비스는 하나의 계약만으로 한 기관에서 3가지 이상의 재가 서비스를 연계해 이용할 수 있는 제도예요. 간호사, 사회복지사, 요양보호사 등이 팀을 이루어 어르신의 건강 상태와 생활 환경을 고려해 월 단위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답니다.
2. 통합재가서비스 종류

총 5가지 서비스 항목을 어르신의 필요에 맞춰 조합해 받을 수 있어요.
주야간보호: 일정 시간 동안 센터에 머물며 신체활동, 식사, 건강관리 등을 받는 서비스
방문요양: 요양보호사가 집으로 방문해 신체 또는 가사활동을 지원
방문목욕: 차량이나 장비를 이용해 직접 가정에서 목욕을 돕는 서비스
방문간호: 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해 건강 상태를 점검하거나 간호를 제공
단기보호: 일정 기간 동안 숙식과 돌봄을 함께 제공받는 서비스
[서비스 유형 예시]
구분 | 구성 서비스 |
주야간보호통합형 | 주야간보호+방문요양(방문목욕) |
가정방문통합형 | 방문요양(방문목욕)+방문간호 |
주야간보호 통합형은 어르신이 센터에 다녀오며 돌봄을 받고, 필요한 경우 집으로 방문요양과 목욕 서비스를 함께 받을 수 있어요. 가정방문 통합형은 센터 방문 없이 집에서 돌봄을 받는 방식으로, 간호·요양·목욕 서비스가 모두 집 안에서 이뤄져요.
또한, 통합재가서비스는 매월 사회복지사나 간호사가 직접 방문해 서비스 내용과 어르신의 상태를 점검하며 관리한답니다.
3. 상황에 맞는 서비스는 어떻게 고를까?

💡 이런 경우에는 ‘주야간보호 통합형’을 추천해요.
치매 어르신이 낮 동안 보호가 필요할 때
낮 시간에 혼자 계시기 위험한 경우
식사, 목욕, 건강관리를 모두 한 번에 받고 싶을 때
보호자 혼자 돌보기가 벅찰 때
💡 이런 경우에는 ‘가정방문 통합형’을 추천해요.
어르신이 집에서 요양받기를 원할 때
간호와 요양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
회복 중인 어르신에게 집중 관리가 필요한 경우
건강 문제로 병원은 어렵고 집에서의 돌봄이 필요한 경우
4. 방문간호, 방문목욕 신청 방법

한 기관에서 여러 서비스를 통합해서 제공받는 통합재가서비스는 신청도 간편해요.
① 통합재가서비스 제공기관을 찾는다.
② 장기요양등급을 먼저 신청하거나 받은 등급을 확인한다.
③ 어르신 상황에 맞는 통합형 서비스 유형을 선택한다.
④ 기관에 연락해 상담 후 계약을 진행한다.
5. 2025년 달라지는 점은?

2025년부터 통합재가서비스는 더 확대되고 강화됩니다.
✅ 전국으로 확대
시범지역 32곳 → 47곳으로 확대
2026년 3월부터 전국 시행 목표
노인 → 노인 + 장애인으로 지원 대상 확장
✅ 새로운 서비스 연계
임종기 케어(생애말기 재가 돌봄 모델) 도입
퇴원 후 일상 복귀 지원을 위한 재가의료-돌봄 연계 강화
✅ 서비스 이용한도 상향
등급 | 2024년 재가 서비스 이용한도 | 2025년 재가 서비스 이용한도 |
1등급 | 약 207여만 원 | 약 230여만 원 |
2등급 |
| 약 208여만 원 |
통합재가기관 150곳 → 200곳으로 확대
재택의료센터 95곳 → 150곳으로 증가
✅ 방문간호 기준 완화
기존: 간호처치 대상자만 월 1회 이용
변경: 1·2등급 수급자는 별도 조건 없이 월 1회 가능
*출처: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(www.korea.kr)
통합재가서비스는 어르신이 낯선 시설이 아닌 익숙한 집에서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제도예요. 방문간호, 방문목욕은 어르신의 건강과 위생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하지요.
2025년부터 서비스는 더욱 확대되고 개인 맞춤형으로 발전할 예정이니, 필요하신 분은 신청 방법을 미리 알아두세요!
